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교과서공급

  • e-자료실
  • 정보마당
  • 교과서공급

외형체제

교과서를 구성하는 외형 체제 중 판형, 지질, 색도와 편집 등을 말한다.

  êµê³¼ì„œì— 마련된 여러 장치 중에서 독자의 시각을 가장 분명하게 자극하는 것이 바로 외형체재이다. 외형 체재는 교과서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인으로서 판형, 글자 크기, 글자 및 낱말 사이의 간격, 글줄 길이와 글줄 사이의 띄기, 지질, 두께, 삽화 및 색도, 여백 처리 등을 말한다. 교과서의 내적체제(體制)(예: 단원 구성 체제)가 일종의 소프트웨어라면, 여기서 말하는 교과서의 외형체재(體裁)는 교과서의 하드웨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서적과는 달리,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는 학생들의 연령과 신체의 발달 수준에 따라 판형, 글자의 크기, 글줄의 길이, 삽화의 활용 등 편집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요구한다.

  í˜„재 우리가 쓰는 교과서는 지금 어느 정도 고급화되었다고 ë³¼ 수 있으나 1970년대만 해도 일반교과서의 본문지는 거의가 55g/㎡ 미색갱지에 화보는 아트지, 면지는 모조지 정도 표지는 모조지를 사용하였으며 본문의 인쇄 색도는 미술과 역사부도와 지리부도를 제외하면 1도 인쇄에 판형은 국판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출처: ‘교과용도서내적체제개선에관한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4.01’의 자료를 참고하여 편집하였습니다.

외형체제 요인

판형

교과서의 판형은 용지의 경제성, 편집의 융통성, 책 관리의 용이성, 학습자의 심리 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용지 이용 면에서 국판과 4X6배판은 용지의 손실이 없지만, 크라운판은 막대한 용지 손실을 발생한다. 그런 반면, 크라운판과 4X6배판은 제본에서 종이 결을 제대로 낼 수 있지만, 국판은 종이 결이 맞지 않아 책장을 넘기기가 어렵다.
교과서의 판형의 여러 전문가들은 국판을 지양하고 크라운판이나 4X6배판으로 택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 이유로 경제성과 책 관리의 용이성을 들고 있지만, 이보다는 편집의 융통성과 학습 효과의 촉진에 있다고 하겠다.
국어과의 경우, 이런 건의를 받아들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4X6배판으로 바꾸었다.

글자의 크기와 모양

글자의 크기와 모양은 글자의 가독성(可讀性, legibility)과 변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글자의 가독성은 글자 그 자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정도를 말하며, 변별성은 한 글자와 다른 글자의 형태를 식별해 내는 정도를 말한다. 글자의 크기나 모양이 읽기 및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외국에서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교과서 활자 크기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활자는 고등학교 2학년 교과서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년의 교과서 활자가 적정 크기를 넘기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과서 활자는 현재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낮추어져야 한다.

지질과 색상

종이의 질은 글자의 선명도에, 그리고 색상은 글자 지각에서 오는 피로감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우리나라에 사용하는 교과서의 종이는 70g 미색 중질지이다. 중질지의 장점은 불투명도가 높고 종이가 얇아도 뒷면의 글자가 배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 실험 연구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질 미색종이는 읽기에 별로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삽화

글과 함께 실린 교과서 삽화는 글 내용에 대한 흥미 유발과 내용의 이해에 대한 보조 장치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새 교과서를 받아든 학생들이 제일 먼저 보는 것이 바로 삽화이다. 그리고 삽화가 재미있으면 글을 읽기도 한다. 특히, 국어 교과서에서 삽화는 매우 중요한 학습의 도구로 작용한다.
교과서의 삽화는 내용 이해와 관련하여 세 가지로 그 기능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필수적 기능으로서, 삽화 자체가 학습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보조 기능으로서, 글 내용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는 장식용 삽화이다.
글 내용과 아무 관련 없이 단지 여백을 처리하기 위한 장식용 삽화가 이에 해당된다.

교육과정별 외형체제 개요

판형 지질 색도 서체 쪽수 편집디자인
군정 및 교수요목기
(1940~50년초)
  • 국판(5×7원칙)
  • 4×6, 5×6, 4×6 배판 혼용
  • 본문: 미분지 갱지(45g/㎡)
  • 표지: 모조지, 마분지
  • 본문: 단색
  • 표지: 단색, 원색
  • 9pt
  • 50쪽(첫걸음)~200쪽 (중학국어)
  • 일정하지 않음
  • 개념 무
  • 인쇄 측면에서 행수, 자간 등만 언급
제1차 교육과정기
(1950년대)
  • 상동
  • 본문: 갱지(31-68g/㎡ 다종)
  • 표지: 120ê·¼ 후지 (厚紙)
  • 본문: 단색(초등 학교 1학년은 원색)
  • 표지: 단색, 원색
  • 초등: 14pt에서 20pt까지 다양
  • 중등: 12pt
  • 고등: 10.5pt
  • 각급 학교별, 교과목에 따라 기준 다름 (50~250쪽)
  • 상동
제2차 교육과정기
(1960년대)
  • 국판원칙 (4×6 배판에서5×7 배판으로 이동)
  • 4×6배판 일부 사용
  • 본문: 갱지 (31~68g/㎡ 다종)
  • 표지: 120 ê·¼ 후지등
  • 상동
  • 상동
  • 상동
  • 상동 (사진, 삽화 게재 등에 조형성 있게 배치 제시)
제3차 교육과정기
(1970년대)
  • 국판 위주
  • 음악, 미술, 부도 등은 4×6배판
  • 본문: 미색갱지 (55g/㎡)
  • 표지: 엠보싱 (180g/㎡)
  • 본문: 단색(초등 저학년은 원색)
  • 표지: 원색
  • 상동
  • 기준쪽수 5% 가감 * 중등평균 202쪽
  • 상동 (학습효과를 높이 도록 적절히 ë°°ë ¤)
제4차 교육과정기
(1980년대)
  • 초등1,2학년: 4×6배판
  • 초등3,4학년: 국판
  • 중등: 국판 원칙
  • 본문: 중질지 (70g/㎡)
  • 표지: 엠보싱 (260g/㎡)
  • 본문: 단색 (초등: 저학년은 원색)
  • 표지: 원색
  • 상동
  • 기준쪽수 10% 가감
    * 중등 평균 100쪽
    * 고등 평균 214쪽
  • 표지: 원색
  • 상동
제5차 교육과정기
(1990년대)
제6차 교육과정기
(1990년대)
  • 초등: 4×6배판과 국판과 혼용
  • 중등: 국판, 크라 운판, 4×6배판 혼용
  • 본문: 중질지 (70g/㎡)
  • 표지: 백상지 (220~260g/㎡)
  • 초등: 원색
  • 중등: 1~3도
  • 초등: 학년에 따라 차이
  • 중등: 주활자 11pt (11~16pt)
  • 고등: 주활자 10.5pt (10~16pt)
  • 상동
  • 상동(다양한 편집 기법등 활용 제시)
제7차 교육과정기
(2000년대)
2007개정 교육과정기
(2000~2010년대)
  • 초등: 4×6배판
  • 중등: 4×6배판 (일부 국배판)
  • 본문: 서적70, 고급서적80g/㎡
  • 표지-초등: 엠보싱240g/㎡ -중등: 엠보싱 220g/㎡
  • 본문
    - 초등: 4도
    - 중등: 2~4도
  • 표지: 4도
    *부도: 6도
  • 초등: 상동
  • 중등: 11pt
  • 고등: 10.5pt
  • 기준쪽수 20% 가감
  • 편집디자인 개념 도입(디자인 설계 및 레이아웃, 활자그래픽, 사진, 그림 등 구체적 내용제시)
2009개정 교육과정기
(2000~2010년대)

출처: ‘교과서공급제도의 개선방안, 교과서연구18, 1994.04’의 자료를 참고하여 편집하였습니다.

외형체제 변천사

군정 및 교수요목기(1945. 8 ~ 1954. 4)

  ì´ 시기의 교과서는 국정, 검정, 인정도서가 모두 번각본 형태 형식이었으며 판형은 5·7판(국판)이 주종이었고, 더러 4·6판도 혼용되었다. 용지는 지질이 좋지 않은 마분지를 주로 사용했고, 군정청 학무국 발행의 교과서 중 일부만 미군 당국에서 조달한 모조지 또는 갱지류를 썼다. 따라서 수업 시수, 진도 등 교과 학습에 따른 충분한 지도 방침이 서 있지 않았기 때문에, 쪽수 안배도 매우 불규칙한 체제였다.

  í•œíŽ¸ 교과용도서에서의 조판은 가로짜기 체제를 굳혔고 한글 전용화 편찬이 현실화되었다. 「한글 첫 걸음」은 일러두기에 해당하는 “주의”와 41개과로 되어 있으며, 판형은 국판, 가로쓰기, 쪽수는 50쪽, 본문 지질은 갱지, 활자 4호(20Q), 색도 인쇄 단도, 제책은 호부장이다. 그런데 당시는 갱지조차 모자라서 “선화지”라는 재생지로 쓰지 않을 수 없었으며, ê·¸ 종이는 표백을 하지 않아 빛깔이 푸르죽죽하였고, 때로는 ê·¸ 전 종이의 글자가 그대로 남아 있기도 하였으며, 롤로를 거치지 않아서 종이 두께가 고르지 못하여 얇게 구멍이 난데도 있었다. 교과서의 됨됨이도 아주 빈약하여서 우리나라 교과서 발행의 역사상 ê·¸ 때처럼 허술한 교과서를 낸 일은 달리 예를 찾아 ë³¼ 수 없을 것이다.

  ê·¸ 때는 신문 용지로 쓰던 갱지가 제일 좋은 종이였고, 선화지라는 재생지를 써서 제대로 읽기조차 힘든 교과서가 많았다.(홍웅선, 1995) 이 시기에 문교부(편수국장)는 조악한 교과서의 범람으로 사회적 물의(지질, 활자, 내용 등)가 있음을 지적하고 개선책 마련에 노력하기도 했다.

  ë¬¸êµë¶€ì—ì„œëŠ” 1949년도 검정규칙을 발표하였는데 ①원고 6부를 제출하되 프린트나 타이프라이트로 인쇄할 것 ②삽화는 사진급 복사로 작성할 것 ③원고를 3월 10일까지 문교당국에 제출할 것이며, 검정 후 1개월 이내에 완전 제본을 납부할 것 ④본 검정시에도 역시 원고 6부를 제출할 것 ⑤검정원고료는 각 책 가격의 20배로 한다.

  ì´ 같은 점으로 보아 본 검정에 합격되면 체제기준에 준해서 조판 제출하게 되어 있다. 6·25사변이 나기 전에 만든 「철수와 바둑이」란 교과서는 미국교과서「come come spot」라는 교과서를 ë³´ê³  번안적으로 구성한 것이었으며, 이 교과서가 흑백 인쇄에서 유색 인쇄(1학년만)로 산듯하게 ê·¸ 모습을 바꿔놓았다. 또한 전쟁이 계속되고 있을 당시의 교과서는 색도 인쇄에서 다시 흑백으로 환원되었으며, 판형도 국판(5·7판)에서 4·6판으로 축소되고 활자는 작아졌다. 그리고 지질도 저하되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1954.4~1963.2)

  ì œ1ì°¨ 교육과정기 때의 외형 체제 요소들이 교과서에 어떻게 활용하였는가는 1955년 10월 6일 제정된 ‘검인정교과서 형식 사열 기준’과 1960년 11월 1일 제정된 ‘교과용도서체제 기준’으로 알 수 있다.

항 목 내 용
판 종
  • 판종은 4×6판, 5×6판, 5×7판, 4×6판배 판으로 한다.
  • 음악과 교과서, 미술과 교과서 및 지도첩은 5×7판 이상 5×7배판 이하로 하고, 기타 교과의 교과서는 5×7판을 원칙으로 하되
      5×6판 또는 4×6판도 용인한다.
활 자
  • 중등학교 교과서의 본문 활자의 크기는 5호(15Q)이상으로 한다.
  • 고등학교 한문 및 중국어의 학생용 교과서의 본문은 4호(20Q)이상이어야 한다.
  • 활자는 정확 명료하여야 하며 자획이 선명하여야 한다.
행수, 자수
자간, 여백
  • 행수는 판종과 활자 크기에 의하되, 5×7판에 5호 활자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1ë©´ 본문을 750자 이내로 한다.
    단, 1면의 본문이 25행을 넘을 수 없으며 1행은 32자를 넘을 수 없다.
  • 어간을 반각으로 하고, ,.!? 등 기호는 반각으로 간주하여 이들 기호와 다음 글자 사이는 전각으로 한다.
인 쇄
  • 인쇄는 선명하여야 한다.
  • 인쇄에 농담이 없어야 한다.
  • 글자 이외의 지면이 깨끗하여야 한다.
  • 글줄이 바르게 되어 있어야 한다.
  • 삽화는 명료해야 한다.
체 제
  • 표지는 120ê·¼ 이상의 후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 교과용도서 검인정을 받은 표시는 안표지에 하여야 한다.
제 본
  • 제본은 견고하여야 한다.
  • 책면은 고르게 제본이 되어야 한다.

* 검인정 교과서 형식 사열 기준(1955. 10. 6 발표)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 1973. 2)

  ë¬¸êµë¶€ëŠ” 검인정 공고와 동시에 집필자를 위해 ‘집필상의 유의점’을 작성 배포하였는데 12항의 일반 원칙에서 내용, 표기, 창의성, 형식 등을 제시하였고, 다시 교과별 지침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제1ì°¨ 교육과정기 때와 달리 본문의 기준 쪽수를 제시하였으며, 집필자에 따라 10%가감을 허용하였고, 합격본에는 반드시 지도서를 작성·제출케 하였다. 그리고 체제 기준은 국정이나 검인정 모두에게 적용되었으며, 용지는 언제나 교과서의 질적 향상의 과제였다. 1963년 1월에는 국정교과서(주)가 갱지를 교과서용지(book paper)로 개량해 줄 것을 문교부에 건의하였다.

체제요인 체제기준
1. 판 종 · 4×6판계 - 국판 또는 5×7판계
2. 판크기 · 4×6판 : 128×182mm - 4×6배판 : 187×257mm
· 국 판 : 148×210mm - 국 배 판 : 210×297mm
3. 활 자
구 분 학년 국문 로마자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1
2
3·4
5·6
20pt 국어
18pt 기타
16pt
14pt
본문에 조화되는 크기
중 학 교 1
2·3
12pt
10pt
24pt, 특수 18pt
16pt, 14pt
4. 본문여백 · 위 / 25mm - 아래 / 20mm
· 바깥쪽 / 20mm - 안쪽 / 15mm
5. 판형에 따른
자수·행수
판 형 10pt 12pt 14pt 16pt
국 판 자수 26~28 20~24 18~19 16~18
행수 23~26 23~19 16~19 15~16
4×6배판 자수 38~40 30~32 26~28 22~23
행수 28~30 24~26 21~22 18~20
국 배 판 자수 40~42 33~35 26~31 25~27
행수 32~38 28~30 26~28 21~24
6. 용지 두께
구 분 초등학교(kg) 중학교(kg) 고등학교(kg)
미술, 공작 가 45 나 68 나 68
지도, 연대표 나 68 나 68 나 68
자연, 과학도서 가 40 가 31 가 31
기타 본문용 가 39 가 31 가 31
(가 : 4×6판계, 나 : 국판계)
7. 기 타 · 제호의 크기, 용지 선택, 악보의 크기 등 (생략)

* 교과용도서 체제 기준/ 자료 : 문교부 편수자료 3호(1960. 11)

제3차 교육과정기(1973. 2 ~1981. 12)

  ì œ3ì°¨ 교육과정기의 검정 업무는 소위 검인정교과서 사건이 동기가 되어 1977년에 검정 공고를 하였고, 저작·검정·합격 등의 과정을 거쳐 1979학년도부터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국정은 1종, 검정은 2종 교과서라 명명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집필상의 유의점’에 제시한 외형 체제 요소는 판형, 쪽수, 지질, 색도 등이었다.

체제요인 체제기준
판형 · 활자  Â· 국판
 Â· 4×6배판 : 음악, 미술, 서예, 사회과부도, 지도서
 Â· 활자 : 5호(지도서 9포인트)
쪽 수  Â· 교과서 : 기준 쪽수 5% 가감 가능
 Â· 지도서 : 기준 쪽수 15%가감 가능
 Â· 교과서 평균쪽수 : 202(30책)
지 질  Â· 내용지 : 미색 갱지 55g/㎡
 Â· 아트(100), 모조지 : 미술, 사회과부도
 Â· 표지 : 엠보싱 180g/㎡ 단, 사회과부도 레자크 500g/㎡
 Â· 속표지, 면지 : 모조지100g/㎡
색 도  Â· 표지 : 4도
 Â· 본문 : 흑백, 사회과부도, 미술은 제한 없음. 서예는 흑백 외 1도
 Â· 속표지 : 2도 이내
 Â· 화 ë³´ : 4도 이내로 4쪽 이내

* 교육과정기의 외형 체제 요소/문교부, 집필상의 유의점(‘79학년도부터 사용할 2종교과서)

  ì œ3ì°¨ 교육과정기에 검정교과서 중 국판이 30책 중 26책으로 약 87%를 차지하였으며, 기준 쪽수는 202쪽이었다. 지질은 미색갱지로 저질지였으나 ê·¸ 뒤로 미색 중질지(70g/㎡)로 상향 조정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가 단도 인쇄(monochrome)였다.

제4차 교육과정기(1981. 12 ~1987. 3)

  ì œ4ì°¨ 교육과정기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한꺼번에 검정공고(1982. 4. 1)를 하였고, 저작·검정·합격 등의 절차를 밟아 1984학년도부터 사용하게 되었다. 이 때 중학교 검정 교과목은 체육(1·2·3), 음악(1·2·3),미술(1·2·3),한문(1·2·3) 및 사회과부도(1)였다. 고등학교는 국어(3), 사회(4), 수학(3), 과학(8), 체육(1), 음악(1), 미술(2), 한문(2), 외국어(11), 실업·가정(2) 등 모두 37종이었다.

구 분 내 용
판형·활자 중학교 고등학교
  · 판형 : 국판(음·미·서예·부도는 4×6배판)
· 활자 : 5호로 하되 10pt 가능, 지도서 9pt
· 판형 : 국판(음·미·서예·부도는 4×6배판), 크라운판 : 과학(4종)
· 활자 : 5호로 하되 10pt 가능, 지도서 9pt
쪽 수 · 교과서 : 기준 쪽수 10% 가감 가능 - 중학교과서 평균쪽수 : 92쪽
· 지도서 : 기준 쪽수 15%가감 가능 - 고등교과서 평균쪽수 : 214쪽
지 질 · 본문 : 미색 중질지 70g/㎡
· 화보 :아트100g/㎡, 4쪽 이내(서예는 2쪽 이내)
· 표지 : 엠보싱 260g/㎡
· 속표지, 면지 : 모조지100g/㎡
색 도 · 표지 : 4도 이내
· 본문 : 단도(사회과부도, 미술은 제한 없음. 서예는 흑백 외 1도)
· 속표지 : 2도 이내
· 화 보 : 4도 이내

* 제4차 교육과정기의 외형 체제 요소/ 문교부, ‘집필상의 유의점’(1984학년도부터 사용할 2종교과서)체제부분

  ì œ3ì°¨ 교육과정기 때에 비해 차이가 나는 것은 교과서 기준 쪽수 허용범위가 5%에서 10%로 증가되었으며, 지질이 미색 갱지 55g/㎡에서 교과서 중질지 70g/㎡로, 표지는 엠보싱모조180g/㎡에서 260g/㎡로, 제본은 사회과부도(반양장)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선철 호부장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부분적인 것이지만 제3ì°¨ 교육과정기에 비해 요소별로 다소 발전되었다. 활자 크기에 있어 ê·¸ 동안(광복 후부터) 5호(중학교)만을 제시하였으나 10포인트 또는 10.5포인트(5호)를 허용하였다.

제5차 교육과정기(1987. 3 ~1992. 6)

  ì œ5ì°¨ 교육과정기에는 검정 공고를 두 번 했는데, 한 번은 1987년 4월 6일 중학교(영어, 과학, 수학, 체육, 음악, 미술, 서예, 한문, 사회과부도 등 9종)이고, 두 번째는 1988년 4월 20일 고등학교(어문 및 예체능 계열 14종, 사회 및 자연 계열 14종, 실업 계열 12종 등 40종)였다. 2종(검정)교과서 검정 공고시의 교과서의 판형은 현행 체제를 기준으로 한다고 명기하였다.

구 분 내 용
판형 · 활자  Â· 판형 : 국판(음·미·서예·부도·타자·상업부기는 4×6배판, 과학은 크라운판)
 Â· 활자 : 중-교과서 12pt, 지도서 9pt ê³ -교과서 10.5pt, 지도서 9pt(한문 및 외국어 별도)
쪽 수  Â· 교과서 : 기준 쪽수 10% 가감 가능
 Â· 지도서 : 기준 쪽수 15%가감 가능
지 질  Â· 본문 : 미색 중질지 70g/㎡
 Â· 화보 : 아트100g/㎡, 4쪽 이내(서예는 2쪽 이내)
 Â· 표지 : 엠보싱 260g/㎡
 Â· 속표지, 면지 : 모조지100g/㎡
색 도  Â· 표지 : 4도 이내
 Â· 본문 : 단도(사회과부도, 미술은 제한 없음. 서예는 흑백 외 1도)
 Â· 속표지 : 2도 이내
 Â·  화 ë³´ : 4도 이내

* 제5차 교육과정기의 외형 체제 요소/ 문교부, ‘집필상의 유의점’(1989~90학년도부터 사용할 2종교과서)

제5차 교육과정기 때의 외형 체제는 제4차 때에 비해 크게 변한 것이 없다. 다만, 활자 크기가 중학교에서는 주된 활자를 12포인트로 쓰게 함으로써 가독성면에서 진전을 보았다. 이처럼 서체의 크기를 조정한 것은 제5차 교육과정기에 전산조판이라는 새 물결로 인한 가동성·조형성 등의 우수함이 지배하였던 것이 원인이기도 하다.

제6차 교육과정기(1992. 6 ~ 1997. 12)

  ì œ6ì°¨ 교육과정기에는 검정 공고를 두 번 하였다. 첫 번째는 1992년 8월 31일에 중학교(영어,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서예, 한문, 부도, 가정, 기술·산업 등 11종)를 공고하고, 두 번째는 1992년 12월 21일에는 고등학교(보통교과 54종, 전문교과 5종 59종)를 공고하였다. 이 때 공시 사항 중 교과용도서의 체제는 ‘교과용도서의 체제 기준(교육부 고시 제1992-13호, 1992. 8.29)’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그래서 ’집필상의 유의점‘의 체제에 관한 사항은 과거에 제시했던 유의사항이 많이 줄었다.

  â€˜êµê³¼ìš©ë„서의 체제 기준은’ ‘교과용도서에관한규정’에 의거 교과용도서의 편찬·집필 및 검·인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체제기준을 정하여 편집·인쇄·제본 등의 준거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교과용도서의 편찬 및 집필 과장에서의 편의를 제공하고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6ì°¨ 교육과정기의 체제 요인에는 뚜렷하게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다만, 과거에 없었던 체제 기준을 제정·공포함으로써 시대적 흐름인 민주화, 개방화, 국제화 등에 역행하는 교과서 제도로 이행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었다.

구 분 내 용
판형 · 활자  Â· 판형 : 중-국판(음·미·영어·부도 4×6배판, 과학은 크라운판)
   ê³ -국판(음·미·영어·부도·상업 등 4×6배판, 과학은 크라운판)
 Â· 활자 : 중-교과서 16급~24급(11pt~16pt), ê³ -교과서 15급~24급(10.5pt~16pt) ※ 지도서 13급(9pt)
쪽 수  Â·  교과서 : 기준 쪽수 10% 가감 가능
 Â·  지도서 : 기준 쪽수 15%가감 가능
지 질  Â·  본문 : 미색 중질지 70g/㎡
 Â·  화보 :아트100g/㎡
 Â·  표지 : 엠보싱 260g/㎡
 Â·  속표지, 면지 : 백상지 100~120g/㎡
색 도  Â·  표지 : 4도 이내
 Â·  면지 : 4도 이내
 Â·  화보 : 4도 이내
 Â·  속표지 : 2도 이내
 Â·  본문 : 1도~8도 이내(미술 :4, 부도:8, 서예:2, 수학·과학:2, 기타:1)
제 본  Â· 부도: 반양장
 Â· ì‹¤ì—…계 : 호부장, 좌철(일부)
 Â· ê·¸ 외: 무선철, 좌철

* 제6차 교육과정기의 외형 체제 요소/ 교육부, ‘교과용도서의 체제 기준’에 것을 정리하였음

제7차 교육과정기(1997. 12~)

  ì œ7ì°¨ 교육과정기에는 2001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사용할 중·고등학교 2종 교과용도서의 검정 실시를 1998년 12월 31일 공고하였다. 중학교는 65종(1학년 25, 2학년 20, 3학년 20), 고등학교는 125종(보통교과 116종, 전문교과 9종)이었다. 이 공고 시에 과거에 있었던 ‘교과용도서의 체제기준’을 적용하라는 내용은 없었고 ‘집필상의 유의점’에서 판형, 활자, 쪽수, 색도만을 제시하였으므로 이 점에 있어 규제사항이 얼마나 풀렸는가를 알 수 있다.

   외형 체제 요소 중 변화가 있는 것은 본문용지가 70~80g/㎡로 고급지로 조정되었으며, 그리고 무엇보다 큰 변화는 모든 교과서의 판형이 4·6배판으로 바뀐 점이다. 우리나라 교과서의 판형이 거의 4·6배판화한 것은 교과목별 특성이나 기능성보다 생산·운반·관리 측면만을 고려한 처사라는 점에서 시비가 있을 수 있다. ê·¸ 밖의 부도의 제본 형태가 바뀌고, 쪽수가 기준쪽수의 20%가감한 것은 결과적으로 쪽수를 전반적으로 증가시키게 되었다.

구 분 내 용
판형 · 활자  Â· 판형 : 4×6배판
 Â· 활자 : 중-11pt, ê³ -10.5pt
쪽 수  Â· 기준 쪽수 20% 가감 가능
지 질  Â· 표지 : 엠보싱 260g/㎡
 Â· 본문(미술·부도) : 아트 또는 스노우화이트 120g/㎡
 Â· 본문(2색도) : 미색 중질지 70g/㎡
 Â· 본문(4색도) : 고급 서적지 80g/㎡
 Â· 화보 : 아트90g/㎡
 Â· 속표지 : 본문지
색 도  Â· 중 학 교 : 2도~6도 (부도6, 수학·음악·한문2, 사회·과학·미술·컴퓨터·환경4)
 Â· 고등학교 : 2도~6도 (부도6, 국어·수학·음악·외국어·한문2)
제 본  Â· 교과서·지도서 : 무선철
 Â· 부 도 : 아지노철
디자인 설계
·
레이아웃
 Â· 시각성, 창작성, 적합성을 충실히 살리고, 사용자의 연령, 교과목, 단원 등에 맞는 디자인 설계로 이해력과 흥미 유발
 Â· 시각적인 일관성과 다양한 변화를 통해 책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구성
 Â· 교과내용과 사진·삽화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공간을 구성·배치
활자그래픽  Â· 본문 : 활자체, 어간, 자간, 행간 등은 가독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
 Â· 제목·기타 : 글자의 조형미와 기능에 맞게 사용
사진·그림  Â· 그림보다 사실적인 사진을 트리밍 및 합성 기법 등을 활용하여 풍부하게 사용
 Â· 그림은 질과 사진을 높이고 다양한 기법을 활용
 Â· 효과적인 그래픽 소재를 적적하게 선택 사용

* 제7차 교육과정기의 외형 체제 요소

그 외에도 과학교과서 외형체제 자율화 계획에 의거, 위의 기준들을 적용받지 않은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가 교과서의 다양한 외형체제를 보여주고 있다.

(출처: ‘교육과정수시개정에따른교과서외적체제개선에관한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5.03’의 자료를 참고하여 편집하였습니다.)

2007개정 교육과정기(2006. 12~)

구 분 내 용
판형  Â· 4×6배판(가로 187mm, 세로 257mm)
 Â· 사회과부도, 미술 교과서는 4×6배판 또는 국배판
쪽 수  Â· 기준 쪽수 20% 가감 가능
지 질  Â· 표지 : 아트지 250g/㎡ (UV코팅)
 Â· 속표지·본문 : 고급 교과서지 75g/㎡(GR품질규격)
 Â· 본문(미술) : 아트지 120g/㎡ 실습지 자율
 Â· 본문(사회과부도) : S/W 120g/㎡
색 도  Â· 표지 : 4도
 Â· 속표지·본문 : 4도(사회과부도 6도)

2009개정 교육과정기(2008. 12~)

외형체제는 자율임. 단, 본문용지는 기존 교과서 용지 75g/㎡(GR품질규격)로 한정함.
※ 과학 교과서 외형체제 자율화에 의거 위의 기준을 적용받지 않음